아이를 키우면서 부모님들이 가장 난감해하는 순간 중 하나는 아이가 부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입니다. 떼를 쓰거나, 삐치거나, 난폭한 행동을 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순간이 많으실 거예요. 이러한 순간에 어떻게 해야 아이에게 바람직한 태도를 가르칠 수 있는지, 아이와 부모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1. 부정적 행동에 대한 대처법: 무관심
아이의 부정적 행동을 다룰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무관심'을 보이는 것입니다. 아이가 삐치거나 떼를 쓰는 행동을 할 때, 부모가 과도하게 반응하거나 지나치게 관심을 보이면 아이는 그 행동을 통해 힘을 얻는다고 느낄 수 있어요. 이는 결과적으로 그 행동이 반복되도록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 차분하게 무관심한 태도를 유지하고 반응을 최소화한다면 이러한 행동은 점차 줄어들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면서 아이가 그 행동에서 더 이상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입니다.
2. 결핍을 통한 내구력 키우기
부모는 아이에게 필요한 것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지만, 모든 것을 쉽게 얻도록 해주는 것이 꼭 바람직한 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적절한 결핍을 경험함으로써 좌절을 견디는 내구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요청이 즉각적으로 받아들여지기만 하면 아이는 좌절에 대한 면역력이 생기지 못하게 됩니다. 때로는 아이가 원하는 것을 주지 않고 스스로 기다리게 하거나 노력하도록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결핍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어려움을 견뎌내는 힘을 기르게 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부모로서의 권위 유지하기
아이에게 지시나 규칙을 전달할 때, 부모의 권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거나 지시를 따르지 않을 때마다 부모가 양보하거나 타협한다면, 결국 아이는 부모의 말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고 여기게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를 닦기 싫다고 떼를 쓰는 아이에게 "오늘은 그냥 자자"라고 양보하면, 아이는 부모가 지시하는 것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을 가지게 됩니다. 부모는 일관된 태도로 권위를 유지하면서 아이가 규칙을 지키도록 도와야 합니다. 이는 아이의 미래에도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4. 난폭한 행동 다루기
아이들이 난폭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 이러한 행동을 통해 얻는 이익을 없애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난폭한 행동을 통해 부모의 주의를 끌거나 특정 요구를 관철하려는 경우라면, 부모가 이러한 행동에 반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필요하다면 공간을 분리하거나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아이의 흥분을 가라앉히도록 해보세요. 만약 이러한 행동이 반복적이거나 심각할 경우, ADHD 등 소아정신과적 문제를 의심해보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행동을 일관되게 다루는 태도입니다.
5. 보상을 통한 긍정적 행동 유도하기
아이에게 새로운 행동이나 습관을 가르칠 때는 초기에는 보상을 통해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이를 닦는 것처럼 하기 싫어하는 행동을 시작하도록 유도할 때, 스티커나 작은 보상을 사용해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익숙해졌다면 점차 보상을 줄여가면서 자연스럽게 그 행동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보상은 아이가 처음으로 새로운 도전을 할 때 용기를 주는 역할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보상 없이도 행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6. 아침 준비 스트레스 줄이기: 우선순위 정하기
아침에 아이를 준비시키는 과정은 많은 부모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결하려는 대신, 중요한 것부터 우선순위를 정해 진행해보세요. 예를 들어, 아이의 옷을 먼저 입히고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 후, 나머지 준비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과정을 순서대로 완벽히 해내려고 하면 아침이 전쟁이 될 수 있으니, 아이와 부모 모두가 덜 스트레스를 받도록 우선순위를 정해보세요.
아이의 부정적 행동은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부분입니다. 부모로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고, 아이가 더 나은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무관심한 태도로 부정적 행동을 줄이고, 적절한 결핍을 통해 내구력을 키우며, 권위를 유지하고 보상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식으로 아이의 긍정적인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거예요. 무엇보다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며 아이의 행동을 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키포인트입니다.